7월 깨알컬렉션
〈야생동물 도시 생활기〉
TAG ㅣ 야생동물, 도시생물, 생태감수성, 공생, 공존, 생물종다양성, 서식지파괴, 로드킬, 유리창충돌, 빛공해, 멸종위기
도시에 사는 야생동물의 삶을 떠올려본 적 있나요?
야생동물의 서식지 파괴와 도시 적응기를 보여주는 자료를 모았습니다.
공존을 위해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을지 힌트를 찾아보세요!
전시 중인 책도 빌릴 수 있습니다.
느티나무 소장자료
둥지상자: 사람이 만든 새들의 집
2009
이승원
밤섬이 있어요
2002
김명길
새들의 눈에는 유리창이 보이지 않아요! : 동물들이 살아가는 길 지키기
2016
브라우어, 시그문드
생태 통로 : 인간이 만든 동물의 길
2015
김황
독수리는 왜 까치한테 쫓겨다닐까?: 우리와 함께 사는 동물들 이야기
2014
김기범
지혜로운 멧돼지가 되기 위한 지침서
권정민
노각 씨네 옥상 꿀벌
이혜란
임순례 감독의 동물과 행복한 세상 만들기
2017
임순례
(와글와글 떠들썩한)생태일기
곤도 구미코
사라져 가는 것들의 안부를 묻다
윤신영
도시를 바꾸는 새: 새의 선물을 도시에 들이는 법
2022
비틀리, 티모시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일까?
안미란
어쩌다 숲: 사람과 동물이 함께 살아가는 도시의 자연 순간들
알레고나, 피터 S
정원을 가꾸고 있습니다
위로, 시몽
(김산하의)야생학교: 도시인의 생태감수성을 깨우다
김산하
인섹타겟돈: 곤충이 사라진 세계, 지구의 미래는 어디로 향할까
밀먼, 올리버
마스크 요정과 꼬마꽃벌
정범종
참고 게시물
[알립니다][도서관 상주작가] 도시에서 야생동물로 살아가기 <진세림 수의사와의 만남> 7/22(토)
기사
새 충돌 줄이려면 ‘5×10 규칙’ 기억하라
시사인|나경희 기자|2021-06-13
새 800만마리 즉사…피도 거의 없는, 유리벽 앞 무덤을 보라
한겨레|허은주 수의사|2022-06-28
동물들 팬데믹 때 ‘인간 걱정’ 없이 다녔다…장거리 이동 73% ↑
한겨레|김지숙 기자|2023-06-09
유리창 ‘새 충돌’ 매해 수천 건인데…구로·금천·노원구만 저감 조처
한겨레|남종영 기자 |2023-06-12
관련자료
야생조류 유리창 충돌 시민 참여 조사 지침서
고양이들의 아파트
야생조류 유리창 충돌 조사
관련법령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