펫로스 증후군은 반려동물을 잃은 뒤 느끼는 우울, 상실감을 말합니다. 동물의 수명은 인간에 비해 길어야 15년~20년이기 때문에 어쩌면 반려동물을 가족으로 맞이한 순간부터 우리는 이별을 마주할 수밖에 없지요. 이럴 때 ‘스스로의 감정에 솔직해지기’가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죄책감, 그리움 같은 감정을 억누르지 않고 있는 그대로 표현하는 거죠. 상실이 낯선 이들에게 작별의 감정을 살펴보는데, 누군가를 위로할 때 조용히 건네면 좋을 자료를 모았습니다.
우리가 사랑한 그때 그 노래, 지금도 사랑하는 뮤지션들을 다룬 자료를 모았습니다.
저마다 다른 가정의 달을 보내는 우리를 위한 컬렉션, '가족'을 다룬 다양한 자료를 모았습니다. - 가족, 함께 살아내다 - 가족, 알면서도 모른다 - 가족과 부동산, 여행, 영화, 옛이야기, 집 - 가족에게 받은 상처, 넘어서다 - 가족의 붕괴, 일으켜 세우다 - 다투는 가족, 법이 다루다 - 엄마와 딸의 세계, 들여다보다
“저는 지구의 주인은 곤충이라고 생각해요. 전 세계 동물은 150만종으로 이중 조류가 1만종, 포유류가 4000종입니다. 그리고 곤충은 100만종에 달해요. 전세계 동물의 3분의 2가 곤충이기 때문이죠.” 정부희 곤충학자의 말입니다. 지구의 주인인데 너무 쉽게 죽임당하고 밟히는 것 같습니다. 자연관찰자들은 '알면 보인다. 알면 사랑한다'라고 하죠. 곤충을 알아갈 수 있는 자료들을 모았습니다. ※ 파주 가람도서관 '부엉이책장'의 벌레 혐오 컬렉션에서 영감을 얻었습니다.
질문 아이콘 이별 후 마음 정리를 돕는 책이 있나요?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을 겪었습니다.
너무 괴로운데, 마음 정리를 해야 제 일상이 회복될 것 같습니다.
사정상 운동이나 외출 같이 활동적인 일은 할 수 없어서, 활기차고 긍정적인 그런 책보다는....
유머러스할 수는 있지만, 보다 '마음'을 다듬고 생각의 지평을 넓혀서 시야를 넓혀주는,
상황을 객관화시켜줄 수 있는 책이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서 제 마음이 다시 차분해지길 바랍니다.
사서선생님들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등록일 : 2023년 08월 24일
질문 아이콘 연인과 함께 읽기 좋은 시집이 있나요?
제가 평소에 시집을 읽는 것을 좋아하는데,
애인과 함께 읽으면 더 감정과 사랑이 풍부해질만한 시집들을 추천받고싶습니다!
선물로 줘서 함께 낭독하고 싶어서요..!
감사합니다.
등록일 : 2021년 05월 20일
질문 아이콘 '낭만적 사랑 이데올로기'가 뭔가요?
최근 들어 비혼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던 중 도서관에 있는 컬렉션 '결혼하지 않고 가족을 구성할 권리'
서가에서 우에노 지즈코의 『결혼 제국』과 『비혼입니다만, 그게 어쨌다구요?!』를 골라 읽었는데요,
본문에 '낭만적 사랑 이데올로기'라는 단어가 계속 언급되더라고요. 이 단어의 뜻이 궁금해요. 관련된 자료가 있으면 살펴보고 싶어요.
등록일 : 2019년 11월 02일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조회수 |
---|---|---|---|
[예비사서_7기] 예비사서가 보내는 마지막 인사 | 느티나무 |
2025-01-25 |
2230 |
[후기] 삶터 곳곳에 자리한 책꽂이, 작은 느티나무 | 느티나무 |
2024-12-12 |
2126 |
[후기][상주작가] ‘정이립’ 작가에게 듣는 우리 동네 이야기 | 느티나무 |
2024-12-04 |
2127 |
[경기도지하철서재] 지하철서재 이용자와 같이 만든 컬렉션 | 느티나무 |
2024-11-30 |
2062 |
[후기] 골목을 바꾸는 작은 가게들@파주 봉일천 시장 | 느티나무 |
2024-11-19 |
2589 |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조회수 |
---|---|---|---|
독서모임 '시선' 8월 모임 <부커상의 시선: 천체_세 자매 이야기 > | 앨리스 |
2024-08-11 |
857 |
7월 20일 (토) 6시30분 느티나무도서관에서 낭독극 열립니다 | 낭독극단 소리숲 |
2024-07-11 |
1009 |
7월 20일 (토) 6시30분 느티나무도서관에서 낭독극 열립니다 | 낭독극단 소리숲 |
2024-07-11 |
928 |
독서모임 '시선' 7월 첫번째 모임 <작가 박완서의 시선: 밀란 쿤데라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 앨리스 |
2024-06-24 |
1199 |
독서모임 '시선' 6월 첫 번째 모임 <느티나무도서관의 시선: E5. 가르치기 전에 배워야 할 것들 > | 앨리스 |
2024-06-03 |
973 |
제목 |
저자 |
발행처 |
링크 |
---|---|---|---|
1960년대 여성소설과 '낭만적 사랑'의 의미 : 강신재와 한무숙 소설을 중심으로 | 송인화 |
한국여성문학학회 |
보기 |
결혼 의례의 기호학적 분석 : 낭만적 사랑의 신화와 성 역할 이데올로기 | 김수아, 이소연 |
한국언론정보학보 |
보기 |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서사전략과 낭만적 사랑의 담론 : <우리 결혼했어요>를 중심으로 | 홍지아 |
한국방송학회 |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