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컬렉션 (3건)

더보기
  • 그때, 내 고향

    SNS 아이콘 SNS 아이콘 SNS 아이콘
  • 레트로: 과거를 재현한 현재

    SNS 아이콘 SNS 아이콘 SNS 아이콘
  • E5. 가르치기 전에 배워야 할 것들

    가장 관심 갖는 게 뭔가요? 물었을 때 부모들은 교육, 아이들은 진로를 꼽는 수가 많았습니다. 어른들은 자기가 사회의 변화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갈수록 확신할 수 있는 게 없다고 느끼죠. 그러면서도 지금의 학교와 입시 제도를 벗어나 미래를 상상하기가 어렵고 두려워서  변하지 않으려 하는 것 같아요. 불안을 누르고 미래를 합리적으로 상상하기, 진심으로 배움이 좋았던 기억을 떠올리기,  다음세대에 대한 존중과 공존의 지혜를 배우기에 도움 될 자료를 모으려 애썼습니다.  

    SNS 아이콘 SNS 아이콘 SNS 아이콘

참고서비스 (2건)

더보기
  • 질문 아이콘 TCK (Third Culture Kid, 제3문화아이들) 관련된 자료들이 궁금합니다!

    TCK는 'Third Culture Kids'의 줄임말이며 한국어로는 '제3문화 아이들'이라고 한다.
    성장기 동안 2개 이상의 문화적 배경을 경험하며 자란 사람들을 말하며 또 다른 말로는 CCK (Cross Culture Kids)라고도 한다.
    TCK는 부모 나라의 문화(제1문화)에도 완전하게 속하지 못하고, 해외 문화(제2문화)에도 완전하게 속하지 못하지만, 제1문화와 제2문화를 양쪽 모두 받아들여 만들어진 새로운 제3의 문화 속에서 살아간다는 뜻이다.

    TCK의 핵심 요소는 성장기에 외국 문화를 경험했다는 점이다. 성장기(1~18세)는 문화 가치관과 언어정체성의 기초가 확립되는 시기이다. 어른이 된 후에는 외국 문화 경험이 '문화 차이' 정도로만 인식되며 외국 체류 경험도 '특별한 추억' 정도로만 기억되는 반면, 성장기에 속하는 아동과 청소년은 향후 귀국하거나 성인이 된 후에도 과거의 외국 문화 경험에 큰 영향을 받는다. 즉 외국에서 성장기를 보내거나 또는 자국에서 외국 문화를 경험하며 자란 사람들에게는 해당 외국 문화 역시 사고방식이나 정체성을 구성하는 일부가 된다.

    위 인용은 나무위키에서 발췌한 TCK에 대한 정의입니다. 저 또한 미국 등 여러 나라를 오가며 다문화적인 정체성과 가치관을 가진 성인이 되었고, 자연스럽게 저와 닮은 TCK들과 함께 일하고 살아가는 중입니다. 넓은 문화적 이해도, 다름에 대한 수용능력, 언어구사능력 등 TCK만이 가진 장점이 많습니다만, 정체성의 혼란과 소속감의 부재 때문에 고생하는 친구들도 많습니다. 

     

    저와 친구들의 TCK 경험을 녹여 낸 팟캐스트를 기획 중에 있는데요, 느티나무도서관에서 이와 관련된 자료들을 만나 볼 수 있었으면 합니다. 

    좋은 서비스를 알게 된 것 같아 감사합니다. 

    등록일 : 2024년 11월 26일

    SNS 아이콘 SNS 아이콘 SNS 아이콘
  • 질문 아이콘 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 관련 지인에게 추천할만한 책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저는 풍덕천동에 살고 있는 주민입니다.

    용인병 지역구 국회의원이신 정춘숙 의원님의 페이스북을 통해

    3월 8일이 제 113주년 세계 여성의날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여성의날은 여성들이 생존권과 참정권을 요구하기 위해 광장에서

    투쟁했던 역사를 기념하고자 제정된 날이라고 알고 있는데요!

     

    과거 여성 인권을 위해 투쟁하고 목소리를 냈던 역사나, 그런 활동을 했던 인물들,

    또 여성의 사회 참여나 조직 내에서의 대표성 제고를 위한 법&제도들이 궁금합니다. 

     

    특히 역사적 인물 중에 경기도나 용인시에 살았던 인물이나

    우리 지역(지자체)에서 하고 있는 조례나 제도가 있다면 더 좋겠습니다.

     

     

    등록일 : 2021년 03월 16일

    SNS 아이콘 SNS 아이콘 SNS 아이콘

오늘 마주친 한 구절 (17건)

더보기
  • "인간을 무엇보다도 우선 도구를 사용하는 동물로 생각하는 것은 인류사의 주요 부분을 간과한 것이다. 나는 이런 경직된 관념에 반하여, 인류는 다른 무엇보다 정신을 만들며, 스스로를 지배하고 계획하는 동물이라는 관점을 펼치려고 한다.  19쪽.  이 ‘오메가 포..”

    등록일 : 2025-02-04

  • "반유대주의의 가해자였던 유럽과 서구 사회가 홀로코스트에 침묵하면서 떠안게 된 태생적인 원죄 의식은 1948년 독립 이후 이스라엘에 보내는 무조건적인 지지와 연대로 나타났고, 이를 피해자에 대한 연민과 배려로 포장하면서 팔레스타인인의 기본권 침해에는 침묵하는 서구의 도덕적 이중성을 고발하..”

    등록일 : 2024-11-19

  • "   종이책을 읽는 것은, 어떤 문구가 공간적으로 어떤 부분에 있으며 다른 문구와 어떻게 붙고 떨어져 있는지 내용과 함께 인지하는 과정이다. 즉, 종이책 읽기는 3차원 공간의 경험이다.     "AI가 아는 것은 과거밖에 없다&qu..”

    등록일 : 2024-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