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아이콘 TCK (Third Culture Kid, 제3문화아이들) 관련된 자료들이 궁금합니다!
TCK는 'Third Culture Kids'의 줄임말이며 한국어로는 '제3문화 아이들'이라고 한다.
성장기 동안 2개 이상의 문화적 배경을 경험하며 자란 사람들을 말하며 또 다른 말로는 CCK (Cross Culture Kids)라고도 한다.
TCK는 부모 나라의 문화(제1문화)에도 완전하게 속하지 못하고, 해외 문화(제2문화)에도 완전하게 속하지 못하지만, 제1문화와 제2문화를 양쪽 모두 받아들여 만들어진 새로운 제3의 문화 속에서 살아간다는 뜻이다.
TCK의 핵심 요소는 성장기에 외국 문화를 경험했다는 점이다. 성장기(1~18세)는 문화 가치관과 언어, 정체성의 기초가 확립되는 시기이다. 어른이 된 후에는 외국 문화 경험이 '문화 차이' 정도로만 인식되며 외국 체류 경험도 '특별한 추억' 정도로만 기억되는 반면, 성장기에 속하는 아동과 청소년은 향후 귀국하거나 성인이 된 후에도 과거의 외국 문화 경험에 큰 영향을 받는다. 즉 외국에서 성장기를 보내거나 또는 자국에서 외국 문화를 경험하며 자란 사람들에게는 해당 외국 문화 역시 사고방식이나 정체성을 구성하는 일부가 된다.
위 인용은 나무위키에서 발췌한 TCK에 대한 정의입니다. 저 또한 미국 등 여러 나라를 오가며 다문화적인 정체성과 가치관을 가진 성인이 되었고, 자연스럽게 저와 닮은 TCK들과 함께 일하고 살아가는 중입니다. 넓은 문화적 이해도, 다름에 대한 수용능력, 언어구사능력 등 TCK만이 가진 장점이 많습니다만, 정체성의 혼란과 소속감의 부재 때문에 고생하는 친구들도 많습니다.
저와 친구들의 TCK 경험을 녹여 낸 팟캐스트를 기획 중에 있는데요, 느티나무도서관에서 이와 관련된 자료들을 만나 볼 수 있었으면 합니다.
좋은 서비스를 알게 된 것 같아 감사합니다.
등록일 : 2024년 11월 26일
질문 아이콘 '차별금지법 제정'에 관한 쟁점들과 왜 이 법이 필요한가를 납득시켜줄만한 자료나 책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모두가 자유롭고 평등한 세상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하는 가이드라인이 '포괄적 차별금지법'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서울시장 보궐선거(4/7일)이 얼마남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 모두가 관심을 가져야 할 이슈가 젠더 및 성 소수자 인권이라고 생각합니다.
최근에 변희수 전 하사와 같은 안타까운 죽음이 더 이상 발생되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성적 지향, 성별 정체성, 병력 등의 항목을 빼고 제정하라는 의견도 있고,
차별금지법에 대한 오해와 팩트체크의 시간이 필요할 것 같아 자료를 읽고 싶습니다.
대략적으로 제가 알고 싶은 내용은, 차별금지법의 필요성과 정의, 쟁점입니다. 해외사례도 궁금하고요.
인터넷 조사로는 한계가 있어 느티나무도서관 분들께 도움을 요청합니다.
등록일 : 2021년 03월 23일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조회수 |
---|---|---|---|
[뉴스레터 46호] 도서관, 전환을 위한 대화 | 느티나무 |
2023-11-01 |
5557 |
[후기] 도서관, 전환을 위한 대화 | 제60회전국도서관대회 포럼 | 느티나무 |
2023-10-28 |
6323 |
[뉴스레터 45호] 도서관이 골목과 만나는 방법 | 느티나무 |
2023-08-31 |
6798 |
[뉴스레터 43호] 5월, 도서관을 찾아온 이야기 | 느티나무 |
2023-06-02 |
7451 |
[6월] 예비사서, 컬렉션을 말하다 | 느티나무 |
2022-06-15 |
9166 |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조회수 |
---|---|---|---|
[모집] 2023 문화도시 지역 포럼 <도시공생> 참여자 모집 | 느티나무 |
2023-04-15 |
3432 |
12월 비대면 심리특강 <중년기 불안 다루기 - 나의 정체성을 찾아서> | 경기도심리지원센터 |
2022-11-17 |
3468 |
제 1회 온라인 정세청세 참가 신청 | 정세청세 (정의로운 세상을 꿈꾸는 청 |
2021-03-30 |
6061 |
용인 마을혁신가 교육에 모십니다. | 용인마을지원 |
2020-10-17 |
7130 |
머내마을영화제로 당신을 초대합니다 | 머내마을영화제 집행위원회 |
2019-08-21 |
7426 |
제목 |
저자 |
발행처 |
링크 |
---|---|---|---|
후(後) 장국영 시대 팬덤의 정체성과 사회문화적 함의 | 오유정 |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
보기 |
글쓰는 인공지능을 둘러싼 쟁점: 저자됨, 정체성, 글쓰기의 윤리 | 김성우 |
한국언론진흥재단 |
보기 |
<입양 정의를 말한다 : 기록과 정체성> | 제 1회 입양진실의날 국제 컨퍼런스 |
뿌리의 집 |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