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방 침대, 소파 구석, 자주 가는 카페 그리고 느티나무도서관. 누구에게나 애착을 느끼는 특별한 공간이 있습니다. 유독 편안함을 느끼는 나만의 장소, 공간을 이루는 물건에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자신만의 ‘특별한 구석’을 살펴볼까요?
2023년 5월 13일, 느티나무도서관에서 작은포럼 <예술 하는 마음>이 열립니다. <예술 하는 마음>과 함께 하는 김영혜 작가는 식물을 그리는 이유에 관해 이렇게 말해요. "대부분 인간을 중심에 두고 돌아가는 이 생태계 속에서, 고요하지만 치열하게 번영하는 식물들에게 항상 시선을 빼앗겼습니다. 언제나 인간들의 필요에 의해 베이고 꺾이는 연약한 존재라고 보일 수도 있지만 제 눈에는 식물들의 세계가 너무나도 견고하고 단단 해 보였습니다." 그렇게 시작된 깨알컬렉션이 '고요하고 치열하게'입니다. 식물의 세계를 담은 책들을 모아봤어요. 식물을 단순히 어떤 풍경의 한 부분으로 보지않고, 치열하게 살아가는 생명력 있는 존재로 그린 작품들을 소개합니다.
2023년 5월 13일, 느티나무도서관에서 작은포럼 <예술 하는 마음>이 열립니다. 예술을 하려는 나, 자세, 태도를 중심으로 포럼에서 함께 나누면 좋을 자료를 모았습니다.
알파고로 시끌벅적했던 2016년, 느티나무도서관에서 '인공지능 시대의 일과 삶' 포럼이 열렸습니다. 그때 엮은 컬렉션이〈인공지능, 더 이상 SF가 아니다〉입니다. 2019년에 내용을 다듬어 〈로봇과 사랑할 수 있을까?〉로 컬렉션을 발전시켰습니다. 시간이 흘러 2023년, 더욱 강력한 인공지능이 등장했습니다. 새로운 질문들이 생깁니다. 인간은 기술을 어떻게 활용해왔을까? 알고리즘이란 게 도대체 무엇일까. 인공지능이 점점 더 정교해지는 시대, 앞으로 어떤 미래가 펼쳐질까? 내게 필요한 역량은?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건? AI(인공지능) 시대를 살아가는 여러분은 어떤 물음표를 갖고 있나요? 실마리가 되어줄 자료들을 모아〈AI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라는 제목으로 소개합니다. '이 자료도...!'하고 떠오르는 자료가 있다면 느티나무도서관 카카오톡 채널로 보내주세요.
질문 아이콘 TCK (Third Culture Kid, 제3문화아이들) 관련된 자료들이 궁금합니다!
TCK는 'Third Culture Kids'의 줄임말이며 한국어로는 '제3문화 아이들'이라고 한다.
성장기 동안 2개 이상의 문화적 배경을 경험하며 자란 사람들을 말하며 또 다른 말로는 CCK (Cross Culture Kids)라고도 한다.
TCK는 부모 나라의 문화(제1문화)에도 완전하게 속하지 못하고, 해외 문화(제2문화)에도 완전하게 속하지 못하지만, 제1문화와 제2문화를 양쪽 모두 받아들여 만들어진 새로운 제3의 문화 속에서 살아간다는 뜻이다.
TCK의 핵심 요소는 성장기에 외국 문화를 경험했다는 점이다. 성장기(1~18세)는 문화 가치관과 언어, 정체성의 기초가 확립되는 시기이다. 어른이 된 후에는 외국 문화 경험이 '문화 차이' 정도로만 인식되며 외국 체류 경험도 '특별한 추억' 정도로만 기억되는 반면, 성장기에 속하는 아동과 청소년은 향후 귀국하거나 성인이 된 후에도 과거의 외국 문화 경험에 큰 영향을 받는다. 즉 외국에서 성장기를 보내거나 또는 자국에서 외국 문화를 경험하며 자란 사람들에게는 해당 외국 문화 역시 사고방식이나 정체성을 구성하는 일부가 된다.
위 인용은 나무위키에서 발췌한 TCK에 대한 정의입니다. 저 또한 미국 등 여러 나라를 오가며 다문화적인 정체성과 가치관을 가진 성인이 되었고, 자연스럽게 저와 닮은 TCK들과 함께 일하고 살아가는 중입니다. 넓은 문화적 이해도, 다름에 대한 수용능력, 언어구사능력 등 TCK만이 가진 장점이 많습니다만, 정체성의 혼란과 소속감의 부재 때문에 고생하는 친구들도 많습니다.
저와 친구들의 TCK 경험을 녹여 낸 팟캐스트를 기획 중에 있는데요, 느티나무도서관에서 이와 관련된 자료들을 만나 볼 수 있었으면 합니다.
좋은 서비스를 알게 된 것 같아 감사합니다.
등록일 : 2024년 11월 26일
질문 아이콘 느티나무 직원이 주목한 기사 (2023.10)
한 달에 한 번, 느티나무도서관 직원들은 이달에 주목한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로 지금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 최근 만난 이용자에게 건네주고 싶은 정보, 계속 흐름을 파악해야 하는 이슈 등이 담긴 기사입니다.
등록일 : 2023년 11월 21일
질문 아이콘 느티나무 직원이 주목한 기사 (2023.9)
한 달에 한 번, 느티나무도서관 직원들은 이달에 주목한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로 지금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 최근 만난 이용자에게 건네주고 싶은 정보, 계속 흐름을 파악해야 하는 이슈 등이 담긴 기사입니다.
등록일 : 2023년 10월 14일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조회수 |
---|---|---|---|
[후기] iM증권과 함께하는 책으로 전하는 안부, 책안부 | 느티나무 |
2025-03-28 |
360 |
[이달의 후원소식] 2025년 1~2월 | 느티나무 |
2025-03-09 |
1183 |
[NWNL 뉴스레터] 25년 겨울호 | 연대의 정보: 도서관이 필요한 이유 | 느티나무 |
2025-02-28 |
1295 |
[이용안내] '느티나무 요리사' @ 동네부엌 | 느티나무 |
2025-02-11 |
1592 |
[예비사서_7기] 예비사서가 보내는 마지막 인사 | 느티나무 |
2025-01-25 |
2352 |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조회수 |
---|---|---|---|
독서모임 '시선' 2024년 11월 두 번째 모임 <삶의 시선: 죽음의 수용소에서 > | 앨리스 |
2024-10-11 |
724 |
독서모임 '시선' 2024년 11월 첫 번째모임 <작가 한강의 시선: 소년이 온다 > | 앨리스 |
2024-10-11 |
630 |
독서모임 '시선' 2024년 10월 모임 <반 고흐의 시선: 반 고흐, 영혼의 편지 2 > | 앨리스 |
2024-10-11 |
670 |
독서모임 '시선' 2024년 10월 모임 <반 고흐의 시선: 반 고흐, 영혼의 편지 2 > | 앨리스 |
2024-10-11 |
613 |
음악극 도시인 | 강효정 |
2024-09-10 |
825 |
제목 |
등록일 |
조회수 |
---|---|---|
highlight.ver 도서관을 더 재밌게 만드는 낯선 발상들 | 2022-12-27 |
1811 |
Full.ver 도서관을 더 재밌게 만드는 낯선 발상들 ✏ | 2022-12-27 |
1925 |
<느티나무도서관 공간 인터뷰> 2021 국제건축문화교류 미래건축인재양성 프로젝트 | 2022-01-28 |
3468 |
[랜선투어] Anythink Library X 느티나무도서관 ② | 2021-12-15 |
3455 |
[랜선투어] Anythink Library X 느티나무도서관 ① | 2021-12-14 |
33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