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컬렉션 (4건)

더보기
  • F5. 사라질 것들을 사랑하는 일

    펫로스 증후군은 반려동물을 잃은 뒤 느끼는 우울, 상실감을 말합니다. 동물의 수명은 인간에 비해 길어야 15년~20년이기 때문에 어쩌면 반려동물을 가족으로 맞이한 순간부터 우리는 이별을 마주할 수밖에 없지요. 이럴 때 ‘스스로의 감정에 솔직해지기’가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죄책감, 그리움 같은 감정을 억누르지 않고 있는 그대로 표현하는 거죠. 상실이 낯선 이들에게 작별의 감정을 살펴보는데, 누군가를 위로할 때 조용히 건네면 좋을 자료를 모았습니다.  

    SNS 아이콘 SNS 아이콘 SNS 아이콘
  • A3. 너무 무서웠겠다

    어린이에게 재난과 참사를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막막할 때가 있습니다.  재난 관련 지침을 살펴보면 ‘어린이들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추상적이지 않게 객관적으로 상황을 설명’하라고 안내합니다.   재난 상황을 어린이의 시선에서 바라보고 감정을 헤아릴 수 있도록  실제 있었던 재난을 배경으로 한 아동문학, 그림책 중에서  어린이가 주인공 또는 화자로 나오는 책을 모았습니다.  양육자, 보호자, 성인에게 실마리가 될 자료도 함께 소개합니다. 

    SNS 아이콘 SNS 아이콘 SNS 아이콘
  • 백만 년 동안 절대 말 안 해

    SNS 아이콘 SNS 아이콘 SNS 아이콘
  • F4. 지금 누구를 돌보고 있나요?

    돌봄의 경험은 누구에게나 필요하고, 돌보는 사람에게도 돌봄이 필요합니다. 특수한 상황에서 일방적으로 제공되는 행위를 넘어서, 누군가를 돕고 연대하는 일상적 행위로서의 돌봄. 그것을 가능케 하는 인간의 감정을 다룬 자료를 모았습니다.

    SNS 아이콘 SNS 아이콘 SNS 아이콘

참고서비스 (6건)

더보기
  • 질문 아이콘 아이에게 갈등 상황 속 감정을 다스리는 방법을 알려주고 싶어요.

    아이가 뜻하지 않은 상황 속에서 친구들과 갈등이 있을 때 감정을 조절하기 어려워 하는 것 같습니다.
    이럴 때 아이와 함께 읽을 동화나 그림책이 있을까요?
    공격성, 주의집중, 자기감정조절, 정신건강을 다룬 책을 중심으로 추천해 주면 좋겠습니다. 

    등록일 : 2024년 11월 20일

    SNS 아이콘 SNS 아이콘 SNS 아이콘
  • 질문 아이콘 즐거운 이야기를 읽고 싶어요. 기분이 좋아지는 이야기가 없을까요?

    우울할 때 기분이 좋아질 만한 이야기를 찾습니다. 
    아이들이 있는 밝은 그림이 보고 싶어요.
     <내 귀는 짝짝이>, <구름의 전람회>, <애너벨과 신기한 털실>을 빌렸습니다.

    등록일 : 2023년 02월 17일

    SNS 아이콘 SNS 아이콘 SNS 아이콘
  • 질문 아이콘 연인과 함께 읽기 좋은 시집이 있나요?

    제가 평소에 시집을 읽는 것을 좋아하는데,

    애인과 함께 읽으면 더 감정과 사랑이 풍부해질만한 시집들을 추천받고싶습니다!

    선물로 줘서 함께 낭독하고 싶어서요..!

    감사합니다.

    등록일 : 2021년 05월 20일

    SNS 아이콘 SNS 아이콘 SNS 아이콘

요즘 느티나무에서는 (70건)

더보기

오늘 마주친 한 구절 (25건)

더보기
  • "만일 대학 학위가 좋은 직장과 사회적 평가의 전제조건이 된다면, 이는 민주주의를 부패시킨다. 이것이 능력주의의 어두운 이면이다. 능력주의 사회에서 학위를 갖지 않은 이들의 사회적 기여는 그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한다... (중략)  이는 결국 포퓰리즘과 같은 정치적인 문제를..”

    등록일 : 2025-03-23

  • " 일상을 이어가는 그 자체만으로도 우리는 떠나보낸 이들을 추모할 수 있다. 일상은 잊기 위한 것이 아니라, 도리어 기억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여기에 도착하기 위해서는 이전 단계들을 충실히 지나야 한다. 슬픔과 고통, 절망, 그리고 이 모든 길 끝에 기적처럼 찾아오는 한 줌의 용기마저도..”

    등록일 : 2024-10-25

  • "   "경탄하는 마음과 겸허한 마음은 건강한 감정입니다. 이 감정은 파괴에 대한 욕망과 나란히 존재하지 않습니다." p.635   『진리의 발견』 마리아 포포바(다른)  읽은 날: 2024. 2. 23. 오늘 읽은 페이지: ~p..”

    등록일 : 2024-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