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주노동자, 차별과 투쟁의 기록 - 당신이 이주노동자에게 갖는 오해 - (미등록) 이주 아동이 겪는 문제 - 이주노동자가 지탱하는 사회 - 인류의 역사는 이주의 역사!
생태사회를 꿈꾸는 개인이 비교적 쉽게 실천할 수 있는 방법. 농촌 뿐 아니라 도시나 교외에서도 자연처럼 작동하는 생태정원의 즐거움을 누리는 방법.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삶을 꿈꾸는 이에게 퍼머컬처를 소개합니다.
G9. 앗쌀라무 알라이쿰(السلام عليكم)_지구촌 1/4(19억) 이슬람
'앗쌀라무 알라이쿰السلام عليكم'은 '신의 평화가 그대에게'라는 이슬람 문화권 인사말입니다. 이슬람에 대해 알지 못해 쌓인 편견과 혐오를 넘어서, 종교와 문화 다양성을 돕는 자료를 모았습니다.
질문 아이콘 게릴라 가드닝 모임에서 함께 읽을 책 추천해 주세요
등록일 : 2025년 02월 02일
질문 아이콘 아이에게 갈등 상황 속 감정을 다스리는 방법을 알려주고 싶어요.
아이가 뜻하지 않은 상황 속에서 친구들과 갈등이 있을 때 감정을 조절하기 어려워 하는 것 같습니다.
이럴 때 아이와 함께 읽을 동화나 그림책이 있을까요?
공격성, 주의집중, 자기감정조절, 정신건강을 다룬 책을 중심으로 추천해 주면 좋겠습니다.
등록일 : 2024년 11월 20일
질문 아이콘 TCK (Third Culture Kid, 제3문화아이들) 관련된 자료들이 궁금합니다!
TCK는 'Third Culture Kids'의 줄임말이며 한국어로는 '제3문화 아이들'이라고 한다.
성장기 동안 2개 이상의 문화적 배경을 경험하며 자란 사람들을 말하며 또 다른 말로는 CCK (Cross Culture Kids)라고도 한다.
TCK는 부모 나라의 문화(제1문화)에도 완전하게 속하지 못하고, 해외 문화(제2문화)에도 완전하게 속하지 못하지만, 제1문화와 제2문화를 양쪽 모두 받아들여 만들어진 새로운 제3의 문화 속에서 살아간다는 뜻이다.
TCK의 핵심 요소는 성장기에 외국 문화를 경험했다는 점이다. 성장기(1~18세)는 문화 가치관과 언어, 정체성의 기초가 확립되는 시기이다. 어른이 된 후에는 외국 문화 경험이 '문화 차이' 정도로만 인식되며 외국 체류 경험도 '특별한 추억' 정도로만 기억되는 반면, 성장기에 속하는 아동과 청소년은 향후 귀국하거나 성인이 된 후에도 과거의 외국 문화 경험에 큰 영향을 받는다. 즉 외국에서 성장기를 보내거나 또는 자국에서 외국 문화를 경험하며 자란 사람들에게는 해당 외국 문화 역시 사고방식이나 정체성을 구성하는 일부가 된다.
위 인용은 나무위키에서 발췌한 TCK에 대한 정의입니다. 저 또한 미국 등 여러 나라를 오가며 다문화적인 정체성과 가치관을 가진 성인이 되었고, 자연스럽게 저와 닮은 TCK들과 함께 일하고 살아가는 중입니다. 넓은 문화적 이해도, 다름에 대한 수용능력, 언어구사능력 등 TCK만이 가진 장점이 많습니다만, 정체성의 혼란과 소속감의 부재 때문에 고생하는 친구들도 많습니다.
저와 친구들의 TCK 경험을 녹여 낸 팟캐스트를 기획 중에 있는데요, 느티나무도서관에서 이와 관련된 자료들을 만나 볼 수 있었으면 합니다.
좋은 서비스를 알게 된 것 같아 감사합니다.
등록일 : 2024년 11월 26일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조회수 |
---|---|---|---|
[이달의 후원소식] 2025년 1~2월 | 느티나무 |
2025-03-09 |
1159 |
[NWNL 뉴스레터] 25년 겨울호 | 연대의 정보: 도서관이 필요한 이유 | 느티나무 |
2025-02-28 |
1258 |
[후기] 저널리즘 풀뿌리 토론 | 2025년 마을포럼 1 | 느티나무 |
2025-02-28 |
1712 |
[낭독회 후기] 베짱이농부들의 밭 낭독회 〈농, 살림을 디자인하다〉 | 느티나무 |
2025-02-14 |
1898 |
[예비사서_7기] 예비사서가 보내는 마지막 인사 | 느티나무 |
2025-01-25 |
2320 |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조회수 |
---|---|---|---|
[에코 롱롱 큐브] 겨울방학(2025년 2월) 특별교육 신청을 OPEN 합니다. | (재)꽃과 어린왕자 |
2025-01-15 |
526 |
대한민국AI국제영화제 | 경기콘텐츠진흥원 |
2024-10-11 |
652 |
대한민국AI국제영화제 | 경기콘텐츠진흥원 |
2024-10-11 |
525 |
독서모임 '시선' 2024년 11월 첫 번째모임 <작가 한강의 시선: 소년이 온다 > | 앨리스 |
2024-10-11 |
629 |
[분당공동육아굴렁쇠어린이집] 2025년 신입원아를 위한 설명회를 마련했습니다. | 박은지 |
2024-10-10 |
613 |
제목 |
등록일 |
조회수 |
---|---|---|
<느티나무도서관 공간 인터뷰> 2021 국제건축문화교류 미래건축인재양성 프로젝트 | 2022-01-28 |
3461 |
<팬데믹 시대, 아픔과 살아간다는 것> 마을포럼 (편집본) | 2021-02-04 |
6769 |
[송현경 기자의 도서관 홀릭] 느티나무도서관 | 2020-03-20 |
10437 |
누구나 꿈꿀 권리를 누리는 세상을 만들다 - 느티나무도서관 박영숙 관장_아름다운재단 181207 | 2020-03-12 |
7754 |
컬렉션 버스킹 01@전주 | 2019-11-29 |
7676 |
제목 |
저자 |
발행처 |
링크 |
---|---|---|---|
후(後) 장국영 시대 팬덤의 정체성과 사회문화적 함의 | 오유정 |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
보기 |
'여캠' 담론과 인터넷 개인 방송 여성 BJ의 노동 경험 | 성연이 |
서울대학교 대학원 |
보기 |
외국인 전담기구 경기도 유치 추진 당위성 및 경제적 · 사회적 효과분석 | 라휘문, 조경훈, 홍성준, 이상엽, 이현우, 김진덕 |
경기연구원 |
보기 |
제목 |
부서 |
시행일 |
링크 |
---|---|---|---|
경기도 공정무역 지원 및 육성에 관한 조례 | 행정안전부 |
2023-07-18 |
보기 |
용인시 도시농업 활성화 지원에 관한 조례 | 농촌테마과 |
2021-03-29 |
보기 |
용인시 친환경농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 | 농업정책과 |
2017-05-04 |
보기 |